젊게 오래 사는법
젊음을 유지하면서 오래 살 수 있는 비결은 무엇일까요? 인간의 수명이 늘어나면서 어떻게 하면 오래 살면서도 젊음을 유지할 수 있는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젊게 오래 사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담배를 끊어야 합니다. 지금은 예전에 비해 거리에 나가면 담배를 피고 있는 사람이 별로 보이지 않는것 같습니다. 50년간 실시된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30세에 담배를 끊으면 10년을 더 살수 있고, 40세에는 9년, 50세는 6년, 60세에 담배를 끊으면 3년이라는 시간이 더 주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DNA를 보호해야 합니다. 나이가 들면서 염색체를 보호하는 텔로미어의 길이도 줄어듭니다. 그러면서 우리의 몸은 질병에 취약해져 갑니다. 건강을 지키며 운동을 하는 건전한 생활습관은 텔로미어의 길이를 늘여주는 효소를 활성화시켜 줍니다.
지중해식 식사를 해야 합니다. 지중해식 식단이 거창하고 대단한 것은 아닙니다. 과일과 채소, 곡물과 올리브오일 그리고 생선을 위주로 식사를 합니다. 이러한 식단은 대사 증후군의 위험을 낮춰줍니다. 대사증후군은 비만, 고혈당, 고혈압 등이 합쳐진 것이며 심장병과 당뇨병의 위험을 높입니다.
성실하게 생활해야 합니다. 성실한 생활은 장수와 밀접한 관계에 있습니다. 성실한 사람은 건강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합니다. 더 나은 일을 선택하려 하고 사람들과의 관계도 신뢰가 높습니다.
체중을 줄여야 합니다. 살을 빼면 당뇨병과 심장병으로 부터 좀 더 멀어집니다. 생명을 단축시키는 수많은 요인을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친구를 사귀세요. 사교성이 좋은 노인은 친구가 적은 노인에 비해 10년 안에 사망할 확률이 훨씬 낮습니다. 다양한 사교활동은 더욱 젊고 오래 사는 요인이 됩니다.
운동을 해야 합니다. 꾸준하게 운동을 하면 심장병, 뇌졸중, 우울증에 걸릴 확률은 줄어듭니다. 운동을 하면 나이가 들어서도 건강한 정신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숙면을 해야 합니다. 잠자는 시간이 5시간 이하로 내려가면 일찍 사망할 위험은 커집니다. 잠을 충분히 자면 질병도 예방할 수 있고 병에서 빠르게 회복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를 관리해야 합니다. 요가도 좋고, 명상도 좋습니다. 하루에 몇 분만이라도 이런 활동을 해주면 스트레스가 줄어들고 생활이 달라집니다.
장수는 많은 사람들의 관심사입니다.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건강하게 오래 사는 법에 대한 관심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장수하는 사람들이 많은 지역에 사는 사람들의 특징은 무엇일까요? 대표적인 장수 지역으로는 그리스 이카리아섬, 사르데냐섬 고랭지, 일본 오키나와, 등이 유명합니다. 이 지역에 사는 사람들의 식습관을 분석한 결과 장수하는 사람들에게는 공통점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장수하는 사람들의 식습관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하루 식사의 95%는 식물성 식품을 먹습니다. 장수마을에 사는 사람들의 공통점은 곡물과 콩류, 채소류와 같은 식물성 식품을 많이 먹는다는 점입니다. 제철 과일과 채소를 충분히 섭취하고, 남은 채소는 말리거나 절여서 보관합니다. 장수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식물성 식품은 푸른 잎채소입니다. 날마다 조리된 잎채소를 한 컵 정도 먹는 사람들은 4년 안에 사망할 확률이 절반으로 줄어들었습니다.
육류는 일주일에 두번 이하로 먹습니다. 오래 사는 사람들도 육류를 먹습니다. 육류를 먹더라도 일주일에 두번 이하로 먹는 횟수를 최소화합니다. 먹을 때도 고기 위주의 식사가 아닌 반찬으로 조금씩 곁들여 먹는 정도입니다. 육류의 종류는 닭, 양, 돼지 등 직접 농장에서 기르는 것을 중심으로 먹고 특별히 제한하는 육류는 없었습니다.
생선은 매일 먹습니다. 이들은 식물성 식품 위주의 식사를 하면서 매일 생선을 조금씩 먹습니다. 가장 좋은 생선은 멸치나 대구처럼 먹이사슬의 중간단계에 있는 것들입니다. 중간단계의 생선은 유해물질에 상대적으로 오염이 덜 되기 때문입니다.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레스 해소법에 관한 꿀팁 (0) | 2017.01.13 |
---|---|
노화를 막아주는 식품들 (0) | 2017.01.12 |
기분이 좋아지는 음식 (0) | 2017.01.11 |
스마트폰 사용으로 피곤해진 목, 두통까지 부른다 (0) | 2017.01.11 |